3. 국민은행청년도약계좌 – 국민은행 청년적금,청년희망적금 최대 6% /목돈 마련을 위한 필수 적금!!!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연 최대6%

 

저는 유튜브 숏츠나 페이스북 같은 곳에서 처음 알게 되었는데 요즘 직장인 사이에서 유명 하고 현재 내가 청년에 해당 된다면 너무너무 좋은 기회인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란 본인이 최대 70만원까지 정해서 60개월 납입 하면 정부에서 소득 기준과 납입금에 따라서 지원금을 주고 비과세 혜택을 주는 상품 입니다. 만기 시 이자와 함께 수령하는 목돈 마련 상품 입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부터 우대금리, 신청방법 등 자세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국민은행청년도약계좌

  • 가입대상

모든 금융기관의 1인 1계좌로 청년 만 19세 부터 34세까지 해당 됩니다.

–  소득 기준 : 개인소득 기준으로 총 급여 기준 6,000만원 이하 : 정부기여금 + 비과세 적용

6,000만원~ 7,500만원은 비과세만 적용 됩니다.

-소득기준이 분류 됫다면 한가지 더 봐야하는데요. 바로 가구소득 입니다. 소득기준으로 정부 기여금+비과세 또는 비과세로 분류되면,

가구 소득기준 중위 180%이하를 충족하는 경우에 가입 가능 합니다.

 

-무직자인 경우도 가입이 제한됩니다. 적금의 개념으로 본인 소득이 있어야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해 신청이 불가 합니다.

 

※※ 다 해당이 되더라도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는 가입이 제한된다고 합니다. ※※

*여기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합니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입니다.*

 

  • 출시일

 

2023년 7월 10일 출시되었습니다.

 

  • 적금 판매기간

 

2023년 7월 ~ 2024년 12월 입니다.

처음 이 상품이 나왔을 땐 단기적인 또는 선착순 느낌이 강했었는데요.

기간이 24년도 12월까지라고 하니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가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저축금액

 

월 1 천원 부터 70만원 까지 입니다.

※  매월(이번달 가입일 부터 다음달 가입일 전까지) 자유롭게 저축 가능합니다.

 

  • 계약기간 

 

60 개월로 5년간 매달 납부하는 것 입니다.

 

  • 기본이율

 

-최초 3년간은 연 4.5%의 기본이율이 적용 됩니다.

이후 3년 초과부터 5년까지는 변경시점의 영업점과 KB국민은행 홈페이지에서 게시한 적금의 고시 이율로 적용 됩니다.

 

  • 우대이율

① 급여이체 우대이율 (연 0.6%p) :

이 상품의 신규일이 포함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급여 입금 월수가 36회 이상인 경우, 연 0.6%의 우대이율이 적용 됩니다.

 

② 자동납부 우대이율 (연 0.3%p) :

이 상품의 신규일이 포함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본인명의 kb국민은행 입출금 통장에서

  1. 월 2건이상의 공과금 자동이체 월수 36회이상

또는

2. 청년도약 LTE요금제의 자동이체 출금 월수 36회 이상

이 두조건 중 한개만 해당되면 됩니다.

 

③ 거래감사 우대이율 (연 0.1%p) :

계약 기간 중 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 가입 고객 또는 가입일 기준으로 KB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고객이면 연 0.1%의 우대 이율이 해당 됩니다.

 

④ 소득플러스 우대이율 (최고 연 0.5%p) :

가입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 주기로 확인된 개인소득 금액의 소득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충족 횟수에 따라 차등 적용 됩니다.

 

※※ 5회 : 연 0.5%p / 4회 : 연 0.4%p / 3회 : 연 0.3%p / 2회 : 연 0.2%p / 1회 : 연 0.1%p 입니다. ※※

 

  • 정부기여금

국민은행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구간별로 정부기여금 산정 기준금액과 지급 비율이 위의 사진으로 준비되어 있는데요.

6,000만원 초과는미지급, 아래로 내려갈수록 지급비율이 높아지니 내가 해당되는 부분이 어디인지 보고 파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참고하기!!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원금과 이자를 합해 1인당 ‘최고 5,000만원’ 보호됩니다.

-상품 가입 전엔 서민금융진흥원을 통해 가입자격 충족여부를 확인한다고 합니다.

-중도해지시엔 비과세와 정부기여금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약관,상품설명서 / 자세한 내용은 KB국민은행 홈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 KB국민은행

 

 

이렇게 최고 이율로 적용했을 때 연 6%의 상품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저같은 경우, 비과세 혜택, 연말정산에 최대한 혜택을 받기 위해 기부금도 하고 있고, IRP도 하고, 청약 통장도 혜택 한도 내에서 가입해 놨는데요.

이번에 이 상품을 통해서도 비과세 혜택이 된다고 하니,

지금 만약 어떻게 돈을 모아볼까하는 청년들에겐 기본 베이스로 시작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Leave a Comment